본문 바로가기

티움 컨텐츠/역사와 야사 사이

문순득 표류기 표해시말

표류기 하면 학교다닐 때 다 배운 네덜란드인 하멜이 쓴 하멜표류기가 생각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 그에 버금가는 표류기가 있으니 정약전이 지은 '표해시말'이다. 그렇다고 정약전이 표류한 경험이 아니고 전라도 신안군의 우이도 홍어장수였던 문순득이 경험한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


문순득의 후손사진과 검수를 통해 그린 문순득의 초상


문순득은 흑산도에서  잡은 홍어를 전국 곳곳에 팔았는데 1801년 12월 나주 영산포로 홍어를 나르던 중 돛이 부러져 바다에서 표류하게 된다. 그는 바다를 떠돌던 중 유구국이라는 곳에 도착했는데 지금의 오키나와였다. 이곳에서 그는 말이 통하지 않았지만 이미 조선과 교류가 있던 곳이라 사람들의 우호적인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그는 빠른 시간안에 유구국의 언어를 익혀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다음해 10월 그곳에 온 청나라 사신의 배를 얻어타고 그리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운명의 장난인지 풍랑을 만나 다시 표류를 하게 된다. 한참을 표류한 그는 여송국이라는 지금의 필리핀 지역에 도착했다. 



그는 긍정적이고 적응을 잘하는 사람이었는지 그곳에서 필리핀 언어를 배우며 장사까지 하면서 지냈다. 9개월간을 지냈는데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언어를 습득했다. 이정도면 언어능력을 타고난 듯. 그 후 1803년 마카오로 가는 상선을 타고 이동한 후 육로를 통해 중국대륙을 가로질러 3년 2개월만에 조선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문순득 표류기를 적은 표해시말


문순득이 여송국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고 언어를 빨리 습득했는지 그 일화가 있다. 1807년 제주도에 필리핀인 5명이 표류해서 떠내려 온 적이 있다. 말이 통하지 않아 어떻게 처리를 못하고 있다가 청으로 압송되었다. 그러나 청나라에서도 처리를 못하고 다시 제주로 돌아와 난민생활을 하게 되었다. 타국의 힘든 삶으로 2명은 죽고 3명만이 남아 고향을 그리며 살고 있었는데 그때 문순득이 나타난 것이다. 문순득은 능숙한 필리핀 말로 그들과 의사소통을 했고 그들이 여송국 사람인 것을 안 조정은 그들을 여송국으로 보내주었다. 


고향 우이도에 돌아온 문순득은 다시 홍어장사를 위해 흑산도에 갔다가 그곳에 유배 온 정약전을 만나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경험담을 정약전에게 전해줬고 정약전은 이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었는데 이것이 '표해시말'이다. 그리고 아직도 우이도에는 그의 후손들이 살고 있다.


  공감 하트♡ ) 누르시는 당신은 센스쟁이^^ 



 

 티움프로젝트 다른 포스팅 보기


- 노비 반석평의 의리!

- 고려 광종은 왜 미친 숙청을 단행했나

- 독고가라 문헌황후의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