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

임신 7살짜리가 가능? 조선시대 종단 이야기 조선시대의 기이한 이야기 7살짜리 아이가 임신을 했다? 아직 2차 성징이 왔을 것 같지 않은, 어린이라기 보다도 유아에 가까운 아이의 임신 소식이 가끔씩 해외토픽으로 나온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이런 일에 대한 기록이 있다. 바로 조선 21대 임금 영조 때이다. 이런것까지 기록된 거 보면 조혼을 했던 그 시대에도 실로 기이한 일이었을 것이다. 때는 1767년 영조 43년이었다. 경상도 산음현, 지금의 경북 산청군에서 7살 여자아이가 임신을 하고 출산까지 했다는 소식이 영조에게 전해졌다. 아이의 이름은 종단. 우리나이로 7살이지 만으로는 5~6세 박에 되지 않은 어린이라고 하기에도 어린 아니다. 이 소식을 전한 이는 경상감사. 당시 지역에서 일어난 일들은 모두 중앙에 보고되었다. 예전에 예상치 못했던 일이.. 더보기
자동선 미모 한류의 원조 자하동 선녀 중국 사신도 반한 미모 송도를 대표하는 기생이자 기생의 대명사로 황진이가 있다. 기생하면 딱 떠오르는 이름. 그러나 송도에 또 하나의 엄청난 미인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자동선이다. 왜 자동선이냐? 쫌 유치하기는 하지만 자하동의 선녀라… 그래서 자동선이다. 하늘의 미모를 가진 여자를 선녀 같다고 하는데 미모가 어땠길래 그런 걸까? 자동선은 황진이보다 2세대 정도 앞선 송도(인천 송도가 아니라 지금의 개성) 출신의 인물로 중국에도 그 미모에 대한 소문이 파다했다. 왜 그런가하면 중국에서 온 사신이 자동선의 미모를 보고 탄성을 내지를 만큼 빼어났는데 본국으로 돌아간 사신이 조선에 가면 반드시 자동선을 보고 오라고 입소문을 냈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정도 미모면 남자가 꼬이기 마련. 당대의 내놓으라 하는 권력자나.. 더보기
꽃에 미친 화가 김덕형의 백화보 꽃에 미쳤어? 백화보(百花譜)라는 조선시대의 책이 있다.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꽃에 관한 책이다. 그것도 그림책. 꽃을 그린 것들을 모아놓은 책이다. 지금으로 치면 식물도감 정도 될까? 아니면 식물 화보집? 이걸 누가 그렸을까? 김덕형이라는 화가가 그렸다. 화가 김덕형은 김군으로도 불렸다. 요즘 말하는 낮추는 말 군이 아니라 군자 할 때 君(임금 군). 꽃의 임금이라는 의미일까? 행실이 점잖고 학식과 덕식이 높은 사람을 군이라 칭했는데 아마도 그런 의미일 것이다. 김덕형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실학자 북학파의 거두인 박제가 시대의 사람이다. 그 시대에 걸출한 인물들 중 화가들도 많은데 아마도 조선시대 가장 유명한 화가인 김홍도와 동시대의 사람이다. 김홍도 보다는 조금 어리다. 정확한 출생년도는 .. 더보기
비격진천뢰 - 왜구를 놀라게 한 조선의 신무기 왜구들이 비격진천뢰에 놀란 이유는? 비격진천뢰는 조선시대의 포탄이다. 포탄이면서 폭탄이다. 이유는 이 포가 일종의 시한폭탄이기 때문이다. 그 이전의 포들은 파괴력으로 승부하는 방식이었다. 커다란 쇳덩어리나 돌로 된 포탄을 멀리서 달려 성이나 함선을 파괴하는 방식이었다. 즉, 세게 때리는 방식이었다는 말이다. 사람이 돌을 던지는 것을 포를 사용해 더 큰 돌을 더 멀리 던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비격진천뢰는 도화선이 달린 폭탄을 날려 도착한 곳에서 터지게 만든 것이다. 일반적인 폭탄의 도화선이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끝까지 심지가 타 들어가면 터지는데 반해 이것은 안쪽까지 심지를 심어놓아 안에서 다 타 들어가면 터지게 되어있다. 지연 신관 폭탄으로 임진왜란 중 화포장 이장손이 개발했다. 이 폭탄 겸 포탄.. 더보기
고약해 조선시대의 충신? '사람 참 고약해' 라고 말할 때 쓰는 '고약해'. '고약하다'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맛, 냄새 따위가 비위에 거슬리게 나쁘다. 얼굴 생김새가 흉하거나 험상궂다. 성미, 언행 따위가 사납다 이다. 비슷한 말로는 괴팍하다, 나쁘다, 이상하다 가 있다. 이렇게 형용사로 쓰이는 고약해가 사실은 사람 이름에서 유래가 된 것이라는 놀라운 사실. 조선시대에 고약해라는 사람이 있었다. 이는 문헌에 나오는 사실로 세종실록에 나온다. 당연히 이름이므로 한자가 있다. ‘고약해(高若海)’. 의미도 좋다. 바다같은 인물이 되라는 의미다. 세종시대에 대사헌을 지냈던 문신이다. 고약해라는 이름이 다소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사실 고약해는 임금에게 직언을 하는 충신이었다. 고약해의 직언이 얼마나 고약해던지 세종도 실은 심기가 .. 더보기
조선시대 여형사 다모 김조이 다모가 드라마로 제작 되어 히트가 되었지만 다모를 그냥 사극 속 허구인줄 아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지금의 여경에 해당하는 다모는 실제로 있었으며 원래는 관공서에서 허드렛일을 맡아서 하는 여자종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한성부나 포도청에 소속된 다모는 아전이나 포졸의 업무를 보조하는 여성 수사관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이들은 사대부들을 감시하고 여성들의 규방을 수사하는 역할을 주로 맡았는데 이는 유교문화에 의해 여성들이 있는 방이나 여성들을 수사하기 위해서는 여성이 필요했기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성들을 수사하는데 여경이 투입되는 것은 지금과도 비슷하다. 이름이 알려진 다모는 없는데 1700년대 송지양이 쓴 한문소설 '다모전'에는 '김조이'라는 다모가 등장한다. 김조이가 실존 인물인지 허구의 인물인.. 더보기
조선시대의 갑옷 두정갑 오해와 진실 사극에 보면 병사들이나 장수들이 갑옷을 입고 나오는 장면이 있다. 이 갑옷을 '두정갑'이라고 한다. 가죽옷에 징을 박은 듯한 모습인데 어릴 때 몰랐을 적에는 이런 갑옷을 보고 '저런걸 입으니 싸우면 지지'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철갑으로 둘러진 서양의 갑옷과 비교하며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전투력이 약한가라는 자괴감이 들게 되었다. 그러나 두정갑의 위력을 나중에 알고는 놀랐다. 겉으로만 그렇게 보일 뿐 실제로 두정갑은 화살도 뚫지 못하는 갑옷이다. 그야 당연하다. 속에는 철판을 댔으니까. 두정갑은 조선시대에 널리 이용되었지만 사실은 고려말기에 전래되었다. 몽골에서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겉에 징처럼 보이는 것은 방어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멋으로 되어있는 것도 아니다. 속의 철판을 고정시키는 앵.. 더보기
태조 이성계 왜 내시 이만과 세자 빈 현빈 유씨를 내쳤나 태조 2년. 태조 이성계는 내시 이만을 죽이고 세자 빈이었던 현빈 유씨를 쫓아낸 일이 있다. 내시 이만의 목을 칠 정도로 중했던 사건은 이만과 현빈 유씨의 간통때문이었다. 이를 조선최초의 궁중스캔들로 보는데 현빈 유씨는 태조가 세자로 삼았던 의안대군의 빈이다. 태조의 아들은 8명이었는데 다 제쳐두고 8번째 아들인 의안대군 이방석을 세자로 삼은 건 이성계가 신덕왕후를 아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결정은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이 왕위를 찬탈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태조가 11세에 불과한 의안대군을 세자로 삼은 건 신덕왕후의 소생이라 더욱 아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며느리도 그만큼 아꼈을텐데 그럼에도 현빈 유씨를 궁에서 쫓아내버렸다. 불륜을 일으킨 이만은 목이 달아날 정도로 중대한 사건이었다. 현빈 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