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움 컨텐츠/트와일라잇 존

리쓰천 교수의 제3의 눈 실험

사람에게는 2개의 눈이 존재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두 눈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는 사람들이 있다. 이를 제3의 눈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 눈이 미간에 있다고도 하고 어떤이는 이것이 물질적인 실체가 없는 육감이라도도 한다.



대만 대학의 리쓰천 교수는 1993년부터 손으로 글씨를 읽는 사람들을 연구했다. 손으로 글을 읽는다고 하니까 점자를 생각하겠지만 이것은 점자가 아닌 실제 글자를 읽는 초능력이다. 처음 가오코우라는 소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는데 이 소녀의 눈을 가리고 글자를 읽게 했다. 놀랍게도 이 소녀는 글자를 읽을 뿐 아니라 색상까지 맞췄다.


리쓰천 교수는 1999년 손가락으로 글자를 읽는 훈련 교실을 개설했다.  여기서 7~14세 어린이 69명을 훈련받게 했고 11명의 어린이가 손가락으로 글씨를 읽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수련단체에서 호흡법을 통해 이 초능력이 생긴다고 홍보를 한 적이 있다. 예전 한 TV프로그램에서는 이 초능력을 가짜라고 밝힌 적이 있다. 안대의 밑으로 아이들이 글자를 본다는 것이었다. 실제 대부분의 투시는 거짓임이 들통났다.

그런데 리쓰천 교수는 이런 논쟁을 없앨 실험을 했다. 훈련과정 중 리 교수는 글자를 쓴 종이를 알루미늄 호일로 싼 후 사진 필름 통에 넣어 아이들에게 나눠 주어 아이들에게 읽게 했다. 아이들은 직접 글자에 손을 대지 않은채 손으로 이 통을 잡는 것 만으로도 글자를 알아 맞췄다.


또 아이들은 손 뿐 아니라 귀로 인식하는 능력도 실험을 했다. 종이에 글자나 도안을 그리고 그 종이를 접에 아이들의 귀로 인식할 수 있는지 실험을 했는데 아이들은 그 글자나 도안도 맞췄다. 2003년에는 종이를 검은 천 가방에 넣고 그 가방에 손가락을 대고 글자를 읽는 실험을 했는데 그 실험에 참가한 아이는 눈으로 보듯이 글자뿐 아니라 글자 색도 인식했다.



대부분의 종교에서 신비주의적인 입장에서는 이 제3의 눈을 이야기 한다. 깊은 명상이나 수련을 하게 되면 초능력이 생기는에 이 중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있다. 눈을 감고도 볼 수 있고 멀리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이 초능력은 본다기 보다 인식한다는 것이 맞는 것 같다. 보는 것은 시신경이 물체를 인식하는 것인데 이것은 시신경과는 전혀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그럼 이 인식은 어디서 하는가 뇌에서 하는 것이다. 뇌가 사물은 인시가는데 눈은 그 도구인것이다. 만약 뇌가 그 도구를 다른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면? 뇌는 다른 도구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말도 안되는 소리로 치부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제 이는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주립대학의 폴 바히리타교수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양전자를 감지해 뇌에 이 물체의 모습을 전달하는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를 개발했다. 이 촬영기를 이용할 경우 선천적 시각장애인들도 사물을 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촬영기가 어디에 장착되냐 하면 바로 혀다. 입안에 흐르는 침이 전기를 이용해 촬영기의 원동력으로 삼는다고 한다. 시각장애인들이 비록 기계의 힘을 빌기는 하지만 혀로 보는 것이다. 이는 꼭 눈이 아니어도 뇌에 자극을 준다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신체의 다른 부위에 이 기계처럼 양전자를 감지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렇게 진화되거나 혹은 훈련을 통해 그런 능력이 생길 수 있다면? 다른 곳으로도 볼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뇌의 시각중추를 자극할 수 있는 신체부위가 있다면 그 신체가 어느 부위라도 볼 수 있게된다. 기이하지만 불가능한 얘기는 아니다.



  공감 하트♡ ) 누르시는 당신은 센스쟁이^^ 


 

 티움프로젝트 다른 포스팅 보기


- 중국 후난성 재생인들이 사는 환생마을

- 아마존 마핀구아리(마삥과리)빅풋인가 나무늘보인가

- 물리학자 에토레 마요라나 실종 미스터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