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여행 티움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주 등방성, 방향은 착각일 뿐 우주 자체에는 방향성이 없다. 등방성이란 지점에서 물질의 중요한 특성이 방향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상태를 말한다. 우주에는 방향이 없다는 것은 오랜 가설이다. 이를 과학이 밝혀냈다. 우주는 어떤 방향없이 등방적으로 팽창하고 있다고 한다. 어느 방향이든 다를 것이 없다. 이는 이론적인 것 뿐 아니라 실제 우주인들이 느끼는 것이라 한다. 우주인들이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 우주로 나가면 그들은 방향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머리위에 지구가 보인다고 위가 아니라는 말이다. 위, 아래, 좌, 우는 모두 중력을 딛고 서있는 인간이 느끼는 착각이다. 미시적인 관점으로 지구라는 한계에서 봤을 때는 모든 공간은 불균일하고, 이는 모두 동일하다는 등방성에 위배된 듯 보인다. 하지만 거시적인 관점으로 우주를 봤을 때는 모두.. 더보기 아이폰7 공개와 에어팟의 이상한 디자인 아이폰7이 공개 되었다. 아이폰만 사용하는 유저지만 스티브잡스 사후에는 사실 그다지 기대를 하지는 않는다. 하드웨어야 상향평준화 되어가는 상황이라 특별한게 없고 기대하는 건 디자인이나 선도적인 기능이 들어갔느냐이다. 그런데 그나마도 이제 그닥. 추가적으로 카메라 기능이 좋아지고 배터리성능이나 저장공간은 원래 새 기기가 나올때마다 늘어가는 거고... 별로 새로운 것은 없다. 새로운 기기가 나오면 더 좋아지는 건 당연한거지. 그리고 아이폰이잖아. 삼성이 슈퍼 헛발질을 한 마당에 잘 팔리기는 하겠다. 사실 나는 아이폰이 커진 후부터 이미 마음을 접었다고 볼 수 있다. 아니 어쩌면 잡스가 죽은 후 부터 접었던가. 잡스는 아이폰이 커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나마 이목을 끄는 건 애플워치2와 에어팟. 애플워치.. 더보기 HOT 20주년. 현 시스템 아이돌의 원조 HOT 20주년이 바로 오늘. 20년전 9월7일에 데뷔했다. HOT이후로 많은 아이돌들이 나왔고 그 시스템이 지금까지 오고 있다. 가요계에 엄청난 일이 생긴것이다. 현 아이돌의 원조를 누구로 보느냐는 여러가지 관점이 있겠지만 난 HOT라 생각한다. 서태지와 아이들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나도 서태지 광팬으로 서태지를 모든 것의 원조의 반열에 올려놓고 싶기는 하지만 아닌 건 아닌거다. 하...기억돋네. 이런 모습으로 데뷔를 했는데 서태지는 댄스와 랩으로 표현되는 아이돌 문화를 만든거지만 시스템에 의해 탄생하지는 않았다. 바로 현재처럼 기획사가 재능있는 애들을 발탁해서 훈련시키고 춤, 코디, 스케줄 등 전반적인 관리 시스템으로 만들어내는 아이돌의 원조는 HOT 인것이다. HOT의 엄청난 성공으로.. 더보기 책 결론부터 써라. 논리적인 글쓰기가 가능할지니... 결론부터 써라. 책 제목답게 제목에 결론을 담았다. 글을 잘 쓰는 것에 관심이 많아서 여러가지 글쓰기에 관련된 서적들을 읽는다. 책을 읽으면서 크게 깨달음을 얻는 책들이 있는데 그런 책들을 읽는 와중에 아~ 하는 탄성이 절로 나온다. 이 책 '결론부터 써라'는 제목을 보는 순간 탄성이 나왔다. 아~ 이렇게 써야 하는구나. 그리고는 내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책을 읽었다. 핵심주제는 간결하다. 제목에 다 나와있다. 책은 술술 읽힌다. 결론부터 쓰는 방식은 모든 글쓰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논리적인 글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리고 우리는 논리적인 글을 쓸 일이 많이 있다. 학교에서 직장에서 등등. 사실 일반 사람들이 소설이나 시나리오등을 쓸일은 없지 않나. 논리적인 글을 써야 하는 상황에.. 더보기 인터스텔라 과학의 화려함, 주제의 진부함, 열풍의 미미함 2014년 작품. 엄청난 열풍을 일으키며 외화사상 세번째로 천만관객을 넘어섰다. 시작부터 범상치 않았다. 평론가들의 호평과 사람들의 기대. 그리고 개봉하자마자 분 열풍. 당연히 극장에서 봐야한다는 생각에 극장을 찾았고 시종일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우리나라 영화도 거의 따라잡았다는 생각이 들때면 어김없이 이런 대작들이 망상을 깨주고는 한다. 과학적인 분석이야 많은 전문가들이 했으니 할말이 없고 또 알지도 못하고. 개인적으로 엄청난 재미와 별 5개를 준 평점에도 불구하고 주제가 진부한건 허리우드 영화의 특징이다. 미국, 아니면 서양이라고 해야하나? 사랑 참 좋아한다. 마치 사랑이 모든 것을 해결해줄 마법의 열쇠인 것 처럼 영화에서 자주 다룬다. 제5원소에서 5번째 원소가 사랑이듯이 이 영화에서도 사랑을 .. 더보기 델마와 루이스 치열한 삶을 살아온 여성들을 위해... 1991년 작. 거장 리들리 스콧 감독의 델마와 루이스. 대학에 다닐 때 학교 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서 이 영화를 봤다. 그때의 기술때문인지 아니면 학교측의 실수인지 모르겠는데 델마와 루이스가 손을 꼭 잡고나서 테이프가 끊어졌다. 마지막 장면을 못 본 것이다. 뒤가 끊어졌다고 도서관 사서에게 말해주니 그게 마지막 장면이라며 뒷 이야기를 해줬다. 그리고는 한참이 지난 후에야 다시 보며 마지막 장면을 볼 수 있었다. 그 사이 여성로드무비의 대표로 페미니즘 영화의 아이콘으로 영화는 자리매김했다. 아니 만들어진때부터 화제긴 했지만. 리들리 스콧 아닌가. 불과 30년전에는 미국도 성차별이 극심했었나보다. 우리나라는 더했겠지. 가부장적사회,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 대놓고 저지르는 성폭력. 이를 극복하고 성공하는 .. 더보기 성룡 공로상, 아카데미에서도 인정한 영원한 따거 요즘 아이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지만 그래도 우리나라에 너무나 잘 알려진 성룡이 미국 아카데미 공로상을 받는다. 성룡을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한 아카데미는 헐리우드에서의 성룡의 활약을 인정한 셈이다. 중국인 최초이자 아시아권에서는 4번째. 아시아권 이전 수상자들은 1989년에는 일본 영화감독 아키라 쿠로사와가, 1992년에는 인도 영화감독 사티야지트 레이가, 2015년에는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인 미야자키 하야오가 평생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하....일본인이 두명. 아시아인이 오스카상을 받은 건 축하할 일이지만 일본, 중국이 받고 우리나라가 없는 것은 아쉽다. 사실 한국은 전세계에서 제대로 영화를 만드는 몇 안되는 나라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거장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점은 아쉽다. 요즘들어 .. 더보기 점심먹고 노라라 아시나요? 점심먹고 노라라! 라는 제목의 사이트.마치 점심메뉴같은 것을 알려주는 사이트 같은 이름의 이곳은 플래시 게임 사이트이다.정식명은 노라라닷컴인것 같은데 부제가 점심먹고 노라라. http://norara.dreamx.com/ 킬링타임용 게임 사이트? 복잡한 게임에 질려버린 사람이라면 하기 좋다.게임 종류는 고르기 힘들 정도로 많다.분야별로 잘 분류가 되어있어 원하는 카테고리의 게임을 골라서 하면 된다. 이런 현란한 게임도 있고... 마치 인터넷에서 할 수 있는 플래시 게임은 다 모아놓은 것 같다.그만큼 종류가 엄청나다.게임은 옛날 추억의 오락실 도트게임을 구현해 놓은 듯한 것부터요즘의 현란한 그래픽의 게임까지 다양하게 있다. 추억이 오락실 도트게임 현락하다고는 하지만 요즘 PC게임을 생각하면 안되고 플래시중.. 더보기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