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네이버 기업 공식 블로그 신청 방법 네이버 기업 공식 블로그는 뭐가 좋은데? 네이버 블로그에는 공식 블로그라는 것이 있다. 검색을 하다 보면 닉네임에 체크가 표시된 블로그들이 있다. 이것들이 공식 블로그인데 특정 사안에 대해 검색 상위권에 뜨고는 한다. 누가 봐도 공식적인 블로그일 것 같은 관공서나 큰 기업체의 블로그들이 있다. 뭐가 더 있어 보이고 네이버에서 공인을 해준 것 같은 이 블로그들 어떻게 공식 인증을 받는 것일까? 네이버 공식 블로그 신청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공식 블로그는 고객센터에서 신청한다. '고객센터 > 블로그 > 공식블로그 > 공식 블로그 등록신청'에서 할 수 있다. 찾아들어가기 번거로우면 다음 주소를 클릭해서 들어간다. https://help.naver.com/support/contents/contents.hel.. 더보기
윈도우10 기본브라우저 변경 방법 다른 브라우저가 뜨게 할 수 없어? PC의 OS는 대부분 윈도우 10을 사용하기 때문에 브라우저도 당연히 MS사의 브라우저를 사용할 거라 생각하지만 그렇지는 않다. 현재 제일 많이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는 크롬이다. 윈도우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크롬을 설치하고 그걸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인터넷서핑을 하기 위해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건 문제없지만 간혹 받아진 html 파일을 열려고 더블클릭을 하면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가 아닌 윈도우10의 기본 브라우저 엣지가 뜬다. 엣지는 나중에 나온 거라 지원 안 되는 기능적인 면에서 호환이 안 되는 것이 많다. 그래서 잘 사용 안 하게 된다. 이렇게 클릭했을 때 본인이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에서 뜨게 하려면 기본 브라우저 설정을 바꿔야 한다. 윈도우 10 기본 브.. 더보기
욜드 세대 뜻과 욜디락스 이코노미 산업 욜드 세대가 중요하다고? 욜드 뜻 욜로가 유행한 적이 있다. 아직도 계속되고는 있지만. 욜로(YOLO)는 현재 자신의 행복을 가장 중시하고 소비하는 태도다. ‘인생은 한 번뿐이다’를 뜻하는 You Only Live Once의 앞 글자를 딴 신조어다. 그런데 지금 욜드(YOLD)가 뜨고 있다. 산업, 문화 쪽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데 욜로처럼 특정한 성향을 나타내는 말이 아니고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욜드는 young old의 줄임말이다. 젊은 노인? 욜드의 뜻은 젊게 살고 있는 노인을 말하며 65~75세의 사람들을 일컫는다. 예전에는 60만 되면 외적으로나 생활로나 완전 노쇠한 경우가 많았고 오래 살았기 때문에 환갑잔치도 거하게 했다. 하지만 지금은 이 정도면 쌩쌩한 나이며 65~75세의 사람들도 노인이라.. 더보기
PC에서 MS 오피스 무료로 사용하기 MS 오피스 프로그램을 안 사도 돼? MS 오피스 하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윈도우처럼 전 세계에서 다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공기관에서 한글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일반 회사에서는 MS 오피스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당연히 유료 프로그램이다. 구입해서 PC에 설치해야 한다. MS사에서는 별개로 오피스 365를 내놨는데 이건 월 사용료를 내고 쓰는 프로그램이다. 이것도 설치는 해야 한다. 그런데 MS 오피스를 공짜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두둥 일단 오피스 365를 다운 받을 수 있는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https://www.office.com/ 이다. 여기서 오피스 365를 구입하고 다운 받아서 사용한다. 일단 이 사이트에 로그인을 한다. 윈도우를 사용하면 대부분 마이크로소프트.. 더보기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사용처 오해와 진실 6가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에 대해 인터넷에 잘 못 된 정보가 너무 많아~ 재난기본소득이 논의되자 경기도에서 발 빠르게 전 경기도민에게 10만 원을 지급한다는 발표를 했고 지급 중이다. 그간의 지역화폐와 연계해서 한다 카드를 따로 만들어서 지급한다 말이 많았는데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지급된 것 같다. 시흥시 기준으로는 신용카드가 있는 사람은 그냥 신청하고 카드를 사용하면 알아서 차감된다. 신용카드가 없는 사람은 카드를 만들어서 지급해준다. 그런데 사용하려고 하니 문제가 있다. 이 가게에서 사용이 가능한가? 라는 문제. 여기저기 인터넷을 찾아보니 잘못된 정보들이 너무나 많다. 그것 때문에 나도 좀 고생을 했다. 되는 가게들 찾느라 접속자가 많아서 에러 나는 경기도 지역화폐 홈페이지에 들어가 시간도 끌었고 우리 동네.. 더보기
4.19 혁명 배경과 결과 요약 그리고 김주열 열사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 4.19 혁명은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선거에 대항해 1960년 일어난 민주주의 혁명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결국 이승만을 권좌에서 끌어내린 혁명이다.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고 많은 선열들이 피를 흘렸다. 그중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건 김주열 열사의 죽음이었다. 이 땅에 지금의 민주주의가 자리 잡은 건 불과 몇십 년 전 이렇게 피 흘리며 싸워온 분들 덕이다. 4 19 혁명 배경 4.19혁명의 배경이 된 사건은 이승만의 자유당 정권이 저지른 3.15 부정선거다. 그걸로 인해 4.19일에 딱 시민들이 들고일어난 건 아니고 그 이전에 2.28 학생 민주주의 의거가 있었고 부정선거에 대한 시위가 이어진 것이다. 독재정권에 반한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염원은 이미 이.. 더보기
영화 로봇, 소리 - 오버 없는 웃음, 신파 없는 울음 미국에서 만들었지만 한국 정서의 소리 영화 로봇, 소리는 로봇이 나온다고 해서 SF영화쯤으로 여기면 안 된다. 그냥 드라마다. 마치 스타워즈의 R2 D2 비스무리한 로봇이 등장하는데 그리 진보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약간은 어설픈 듯 하지만 미국산 인공지능이 내장되어 있다고 하니 그렇게 믿어주자. 중요한 건 로봇이 아니고 로봇을 통해 발생하는 드라마니까. 영화는 그다지 기대하지 않고 봤다. 하지만 기대 이상이었다. 일단 소재 자체도 신선하고 국민 모두의 악몽이었던 대구지하철 참사가 배경이라는 것이 왠지 신파로 흐를 것 같았지만 딱히 그렇지도 않았다. 눈물 짓게 만들기는 했지만 갑자기 만드는 억지 울음은 아니다. 전반적으로는 웃긴 상황들이 계속되지만 그것도 그렇게 오버스럽지는 않다. 결국 억지웃음, 억지 .. 더보기
영화 제8요일 뜻과 다운증후군 배우의 열연 일주일이 7일인데 8요일이 어디 있는 거지? 제8요일이라는 특이한 제목의 이 영화는 제8요일이라는 특이한 제목의 이 영화는 기독교 관점에서 주일을 뜻한다. 일주일이 7일뿐인데 제8요일이라고 하는 이유는 우리가 일주일로 여기는 관점이 중간에 바뀌었기 때문이다. 원래는 일요일은 일주일의 시작이고 주일은 토요일이었다. 이것이 일요일이 일주일의 마지막 날로 쉬는 날이 되면서 주일이 되었고 그래서 8요일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영화를 보게 되면 처음 드는 느낌은 ‘와~ 다운증후군 연기를 정말 잘한다. 어디서 저런 배우를 구했을까’라는 것인데 영화를 보면서 차츰 느끼게 된다. 연기가 아닌 것 같다. 영화를 보고 나중에서야 실제 다운증후군 환자라는 것을 알게 됐다. 사실 환자라는 말이 붙는 것도 일종의 편견일지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