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중

최상위 소득비중 점점 커지는 빈부 격차 우리나라 최상위 소득비중이 얼마나 될까? 한국의 가장 많은 소득을 올리는 상위 1% 의 소득자들이 국내 20세 이상 국민 소득의 1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위 소득비중은 점점 늘어나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는 임금, 금융, 사업소득으로 한해 1억 2670만원 이상을 버는 고소득자 1명이 14명 몫의 소득을 점유한다는 이야기다. 최상위 소득자의 소득점유율이 계속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소득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는 얘기고 빈부 격차가 심해진다는 말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15년까지의 최상위 소득 비중 분석' 보고서의 내용에 보면 상위 1% 상위 소득자의 전체 소득비중은 2000년 9.0%에서 2015년 14.2%로 높아졌다. 총소득이 32조 8008억원에서 73조 4756억원으로 두배 .. 더보기
한국 중산층비중 그 허와 실 한국 중산층비중이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최신 통계에 의하면 한국 중산층 비중은 60% 수준으로 OECD 평균을 소폭 하회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보면 글로벌 중산층도 하락하는 측면이 있는데 이는 자동화와 디지털화 같은 기술 발전에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중산층의 규모는 198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급속한 공업화시대가 끝나가는 시기와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OECD와 한국의 중산층비중 양상 21세기 들어 중산층 비중은 급감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미국과 독일, 룩셈부르크에서 중산층의 규모는 2000년대 들어 5% 급감했다. 흔히 경제의 안정성을 이야기 할 때 중산층비중을 중요하게 여긴다. 중산층은 중위소득의 75~200%를 버는 소득계층을 말하기 때문이다. 이 소득계층이 많을 수록.. 더보기
공공의료 비중 계속 후퇴 결국 민영화로 가는 수순 공공의료 비중이 계속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의원실에 제출한 '공공의료 비중 추이' 자료에는 2007년 11.8%에서 2012년 10%, 2015년에는 9.2%가 되었다.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공공보건의료 비중이 높은 나라는 영국, 호주, 프랑스등이 50% 이상이며 영국은 100%다. 모두 공공의료라는 얘기다. 공공의료분야는 역시 좋은 부분이므로 OECD에서 최하위 수준이다. 의료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 정권에서 공공의료 비중을 높인다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있는 것도 없애고 있다. 진주의료원 폐쇄 같은 사건을 보면 황당하기 그지없다. 공공기관을 적자가 난다고 폐쇄하는 실정이다. 사람목숨보다 그게 더 중요하단다. 공공기관은 이익을 내는.. 더보기
1인가구 비중 느는데 엉뚱한 주거안정대책 1인가구 비중이 점점 늘고 있다. 5년사이 유소년 인구는 97만명이 줄었고 고령인구는 121만명이 늘었다. 1인가구는 100만가구가 늘면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많아졌다. 반면 1인가구를 위한 주거 안정대책은 답답한 실정이다. 오죽하면 이런 프로도 있다 1인가구가 이처럼 늘어나는 것은 고령화로 인한 1인가구 증가. 자녀들이 성장해 분가를 하고 배우자가 사망하면서 생기는 1인 가구들이다. 또 결혼을 하지 않는 청년층의 증가로 인한 1인가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도 이런 1인가구를 위한 주거안정대책은 없고 발표하는 정책마다 부동산 가격떠받치기 정책이다. 현재 노후화와 미분양으로 인한 빈집은 100만가구를 넘어섰다. 이는 집이 남아돈다는 얘기다. 가구수에 비해 집이 더 많아진건 이미 오래되었다. 그럼에도 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