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국가부도의 날 실존인물이 아니라고? IMF의 장막 뒤 이야기
아무리 각색이라 해도 알만한 사람은 다 알지~
1997년 대다수의 국민들은 처음 들어보는 IMF라는 직격탄을 맞았다. 뭔지 모르지만 나라가 어수선하고 나라가 망했다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기업들이 도산하고 실업률이 올라갔으며 자살자들이 늘어갔다. 국가부도의 날은 그때 나라 상황을 다룬 영화다. 사실에 바탕을 둔 픽션이라고 한다. 인물들도 모두 허구의 인물들이고. 그렇다고 한다. 정말인지 모르겠지만. 보통 이런 역사의 이야기들은 허구의 인물을 내세우지만 실제인물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이 이야기는 IMF라는 겉으로 보이는 장막 뒤에 가려진 이야기다.
이 시기에 어려움을 겪은 사람들은 이때를 기억하기를 꺼려한다. 우리나라가 IMF를 조기 졸업하기는 하지만 사실상 IMF는 끝나지 않았다. 지금 우리가 겪는 양극화니 실업률이니 하는 모든 경제 악의 시작은 이때부터였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그때를 겪은 사람들 뿐 아니라 이 사태를 일으킨 인간들도 꺼내 드는 것을 싫어한다. 물론 이런 사태를 만들었어도 조금의 반성도 없이 지금도 정권을 잡으려고 발악을 하고 있지만.
국가부도의 날에 가장 악랄하고 관객들에게 고구마와 분노를 선사하는 재정국 차관은 실존인물이 아니라고 하지만 알만한 사람들은 그가 누구인지 안다. 그 사태를 일으키고도 나중에 경제부총리를 하며 또 한번 나라를 말아드셨다. 오직 돈으로만 돌아가는 세상을 동경하며 있는 자만을 위한 정책만을 펴는 부류의 인간들. 대기업들이 많이 무너졌다고 하지만 그것보다 훨씬 많은 서민들이 무너졌다. 저들로 인해 나라의 위기가 왔는데 또 그걸 잊어버리는 우매한 국민들이 다시 한번 그들에게 국가의 핸들을 쥐어주어 또 9년 동안 잘 말아먹었다.
그나마 이런 영화라도 만들 수 있는 건 정권이 바뀌었기때문이다. 연일 부도 뉴스. 자살하는 사람들의 뉴스. 에효... 그래도 여전히 잘 사는 이 사태의 주범들. 사실 그동안 IMF가 국민들이 흥청망청해서 그런 줄 알고 있는 사람도 많았고 지금도 그렇다.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영화에서도 나오듯이 그들의 과오를 잘 감춰왔기 때문이다.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힘도 있었고. 하지만 지금은 정보를 통제할 수 없는 시대. 이제 또다시 그런 사태가 와도 예전처럼 속이기는 힘들다.
그나마 자유로운 시기에 영화가 나오기는 했지만 그때의 일들을 까발리는 면에서 국가부도의 날은 상당히 도발적인 영화다. 여전히 그들이 힘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에. 도발적인 스토리에 도발적인 배우들의 연기. 잘 어울린다. 실제 정부부처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는 모르고 상상해서 만든 이야기지만 그때 정부와 이후 다시 9년간의 무능력으로 봤을 대 충분히 그렇게 하고도 남았을 인간들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허구이면서 사실이다.
"위기에 또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잊지 않아야 해요"
잊지말자. 누가 이 사태를 만들었고 어떻게 조작했었는지를.
그나저나 김혜수는 나이를 먹어갈수록 멋있어지는 것 같다. 배우로서도 인간으로서도. 젊을 때는 앵앵거리는 목소리가 어떤 역할을 해도 안 어울린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어떤 역할을 해도 잘 어울린다는 느낌이다. 연륜이 묻어난 걸까? 아니면 삶의 궤적이 겉으로 드러나기 때문일까. 암튼 멋있는 배우로 계속 나이를 먹어갔으면 좋겠다.
|
함께 보면 좋은 다른 포스팅 |
https://tioom.tistory.com/1620
영화 제보자 - 이런 언론이 망가지는데 불과 10년이 안걸렸다
영화 제보자. 지금은 10년도 넘은 황우석 사건을 모티브로 해서 만든 영화다. 이 영화가 나오고 여전히 황우석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비난하는 사람들이 성토를 해댔지만 나는 이 영화가 황우석 사건을 다룬 영화가..
tioom.tistory.com
- 티움 프로젝트 지식과 지혜의 정보를 페이스북, 트위터, RSS, 구독하기로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 공감 하트( ♡ ) 누르시는 당신은 센스쟁이^^ ※